초파리는 걷고 날아다니며, 수컷은 짝을 구하기 위해 연가를 부릅니다. 이러한 모든 행동은 핀 머리 크기도 안 되는 작은 뇌로 이루어집니다. 지난 2024년 10월 경 초파리의 뇌 지도, 즉 커넥톰이 완성되면서 약 13만 개의 뉴런과 5000만 개 이상의 시냅스가 상세히 밝혀졌습니다. 이는 성체 동물의 뇌에 관한 연구 중 가장 복잡한 부분까지 밝혀낸 사례로, 인간 뇌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초파리 뇌 커넥톰의 중요성
연구의 배경: 초파리 뇌의 커넥톰 연구는 신경과학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프린스턴 대학교의 말라 머시 박사는 이 연구가 건강한 뇌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과학자들이 연구 대상으로 초파리를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전적 유사성: 초파리는 인간과 70%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어, 인간의 뇌 질환 연구에 중요한 실험 동물로 활용됩니다.
2) 간단한 구조: 초파리의 뇌는 크기가 1mm도 안 되지만, 약 14만 개의 뉴런과 5천만 개 이상의 시냅스를 포함하고 있어 복잡한 신경망을 연구하기에 적합합니다.
인간 뇌 연구에의 기여: 영국 케임브리지의 그레고리 제퍼리스 박사는 초파리 뇌 연구가 인간 뇌의 네트워크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초파리 뇌의 구조와 기능
뉴런과 시냅스: 초파리의 뇌는 약 13만 개의 뉴런과 5000만 개 이상의 시냅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회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밝혀졌습니다.
움직임과 시각 처리: 움직임을 제어하는 회로는 뇌 아래쪽에, 시각을 처리하는 부분은 측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시각 처리에는 더 많은 계산 능력이 필요하여 더 많은 뉴런이 동원됩니다.
연구 방법과 기술
AI와 수작업의 결합: 연구진은 미세한 치즈 강판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 뇌를 7000개로 조각낸 후, AI를 이용해 모든 모양과 연결 형태를 추론했습니다. 그러나 AI의 한계로 인해 300개 이상의 부분은 수작업으로 수정해야 했습니다.
구글 맵과 같은 뇌의 구조: 필립 슈레겔 박사는 커넥톰을 구글 맵에 비유하며, 뉴런 간 연결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초파리 뇌 연구의 미래
인간 커넥톰 연구의 가능성: 연구진은 앞으로 30년 안에 인간의 커넥톰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번 초파리 뇌 연구 성과가 인간의 마음과 생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밝혀낼 중요한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신경과학계의 변화: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계에서 향후 몇 년 동안 새로운 연구 결과가 쏟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초파리 뇌 연구 외 다른 생물들의 뇌 커넥톰 연구
1) 선충(C. elegans)
커넥톰 완성: 선충의 뇌 커넥톰은 1982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302개의 뉴런과 7,000개의 시냅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선충의 신경망 구조를 상세히 밝혀냈습니다. 이 연구는 신경과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2) 쥐(Mice)
뇌 연구의 진전: 최근 쥐의 뇌 커넥톰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뇌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간 뇌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쥐의 뇌는 약 7천만 개의 뉴런과 1조 개의 시냅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연구는 신경망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원숭이(Monkeys)
고급 신경망 연구: 원숭이의 뇌 연구는 인간의 뇌와의 유사성 덕분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원숭이의 뇌 커넥톰 연구는 인간의 인지 기능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신경과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인간의 뇌 질환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4. 미니브레인(Minibrain)
인간 뇌의 축소판: 최근 연구에서는 미니브레인이라는 인공 뇌 모델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신경망의 발달과 기능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모델은 뇌의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초파리 뇌 연구는 단순한 곤충의 뇌를 넘어, 인간 뇌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연구는 신경과학의 새로운 장을 열어줄 것이며, 앞으로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인류가 이전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뇌질환 등에 있어 치료법 등의 성과가 나오길 기대합니다.
[출처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8rd0647d71o]
감사합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만든 유전자 편집기: 생명과학의 게임 체인저 (0) | 2025.04.09 |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미래를 여는 열쇠 🔑 (0) | 2025.04.02 |
지능의 경이로움: 동물계 TOP 10 똑똑한 친구들 (0) | 2025.03.26 |
스마트팜을 통한 농업의 혁신: 최신 트렌드와 기술 (0) | 2025.03.21 |
스피어엑스(SPHEREx) 우주망원경: 세계 최초의 3차원 우주지도 제작에 도전 (0) | 2025.02.14 |